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방법

이미지
나리타 공항에서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타고 도쿄역 또는 시부야, 신주쿠 등 시내로 많이 가는 방법이 나와있어서 수월했다면,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 갑자기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우왕좌왕 헤매지 말고 쉽게 넥스타고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법 도쿄역 광장을 앞에 두고 봤을 때 지하로 바로 내려가지 말고 1층 도쿄역을 통과해서 빨간색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표지판 따라가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혼잡하기로 유명한 도쿄역에서 잘 모르겠을 시 역무원이 항시 대기하므로 물어보기가 편합니다.  넥스 왕복 티켓을 미리 구매했는 경우 일본 여행 첫날, 나리타공항에서 넥스를 왕복으로 구매했다면 수월하게 빨간색 넥스 표지판만 따라가면 됩니다. 처음에 우리나라 지하철 개찰구와 같은 곳에 구매한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됩니다. (저희도 처음에 몰라서 역무원에게 말했더니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된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왕복티켓이 있다고 넥스의 시간과 좌석이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넥스 티켓 판매 기계로 가서 왕복 구매 시 남은 티켓을 넣고 시간과 좌석을 정해줍니다. 어려워할 것도 없이 역무원이 항시 대기 중이며, 옆에서 도와주므로 수월하게 나리타공항으로 가는 넥스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여행 첫날 왕복 구매하신 분들은 추가 금액이 없으므로 안심 하셔도 됩니다. 티켓이 총 두장씩 나오게 되는데 나리타공항 도착 후 개찰구에 티켓 두장을 모두 넣으면 됩니다. 하나씩 따로 넣든 두장을 한꺼번에 넣든 상관없습니다. 넥스 편도 티켓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 왕복티켓이 아닌 편도로 넥스 티켓을 현장 구매해야 한다면 넥스(N'EX)라고 빨간 표지판이 있는 티켓 부스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 또한 어렵지 않은 것이 역무원이 빠르게 도와주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편도티켓 2인 기준 약 5,000엔 스이카로 결제했을 시 금액이 부족하다면 남은 금액...

주택담보대출 LTV? DTI? DSR?

주택 담보 대출 제한 기준이 되는 LTV, DTI, DSR

주택을 구매할 때 주택값이 워낙 비싸다 보니 대출을 안 할 수가 없는데요, 그래서 주택을 구매할 때 금융기관에 방문하여 대출을 신청하게 됩니다. 이것이 주택담보대출인데, 금융회사에서 대출해줄 때, 차주(빌리는 사람)가 필요한 금액을 전부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차주(빌리는 사람)가 구매할 주택 가격과 상환 능력 등을 고려해서 대출 한도를 제한하게 됩니다.
이때 대출 금액 제한 기준으로 살펴보는 지표가 LTV, DTI, DSR 입니다. 용어가 낯설어서 처음 보면 어떤 의미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LTV, DTI, DSR이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LTV(Loan To Value ratio)

LTV는 우리나라 말로 '주택 담보 인정 비율'이라고 부릅니다. 즉, 차주(빌리는 사람)가 구매하고자 하는 주택을 담보로 주택 시세 대비 일정 비율만큼 대출금액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주택 시세는 KB시세, 한국부동산원, 공시가격, 감정평가액 등으로 평가합니다.
LTV는 시장 금리와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정부에서 조정하게 됩니다.

※ LTV 비율 계산
대출가능금액 / 주택담보가치 x 100


예시LTV 70%라고 하면, 5억 원 주택을 구매할 때 최대 3억 5천만 원까지 대출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 DTI(Debt To Income)

DTI는 우리나라 말로 '총부채 상환비율'입니다. 즉, 차주(빌리는 사람)의 소득에 따라 부담할 수 있는 부채의 정도를 보는 것입니다. DTI는 규제지역과 규제 외 지역의 비율이 다르고, 지역에 따라 DTI 적용이 없는 곳도 있으니, 주택담보대출을 할 때, 해당 지역의 DTI 비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DTI 비율 계산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연간 이자 상환액) / 연간 총소득 x 100

예시 : 연간 소득이 6천만 원이고, DTI 60%라고 하면, 연간 대출 상환액 = 6천만 원 x 60% = 3천6백만 원이 됩니다. 즉, 차주(빌리는 사람)가 1년 동안 갚아야 할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대출 연간 이자 상환액의 합이 3,600만 원을 넘지 않는 내에서 대출을 해주는 것입니다.

3. DSR(Debt Service Ratio)

DSR은 우리나라 말로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입니다. DTI가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상환액과 기타 대출 연간 이자 상환액을 더해서 계산한다면, DSR은 기타 대출 연간 이자 상환액이 아니라 기타 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더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그래서 DSR이 적용될 경우 대출 제한이 강화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DSR 비율 계산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총소득 x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