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방법

이미지
나리타 공항에서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타고 도쿄역 또는 시부야, 신주쿠 등 시내로 많이 가는 방법이 나와있어서 수월했다면,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 갑자기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우왕좌왕 헤매지 말고 쉽게 넥스타고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법 도쿄역 광장을 앞에 두고 봤을 때 지하로 바로 내려가지 말고 1층 도쿄역을 통과해서 빨간색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표지판 따라가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혼잡하기로 유명한 도쿄역에서 잘 모르겠을 시 역무원이 항시 대기하므로 물어보기가 편합니다.  넥스 왕복 티켓을 미리 구매했는 경우 일본 여행 첫날, 나리타공항에서 넥스를 왕복으로 구매했다면 수월하게 빨간색 넥스 표지판만 따라가면 됩니다. 처음에 우리나라 지하철 개찰구와 같은 곳에 구매한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됩니다. (저희도 처음에 몰라서 역무원에게 말했더니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된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왕복티켓이 있다고 넥스의 시간과 좌석이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넥스 티켓 판매 기계로 가서 왕복 구매 시 남은 티켓을 넣고 시간과 좌석을 정해줍니다. 어려워할 것도 없이 역무원이 항시 대기 중이며, 옆에서 도와주므로 수월하게 나리타공항으로 가는 넥스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여행 첫날 왕복 구매하신 분들은 추가 금액이 없으므로 안심 하셔도 됩니다. 티켓이 총 두장씩 나오게 되는데 나리타공항 도착 후 개찰구에 티켓 두장을 모두 넣으면 됩니다. 하나씩 따로 넣든 두장을 한꺼번에 넣든 상관없습니다. 넥스 편도 티켓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 왕복티켓이 아닌 편도로 넥스 티켓을 현장 구매해야 한다면 넥스(N'EX)라고 빨간 표지판이 있는 티켓 부스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 또한 어렵지 않은 것이 역무원이 빠르게 도와주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편도티켓 2인 기준 약 5,000엔 스이카로 결제했을 시 금액이 부족하다면 남은 금액...

청년희망적금보다 좋은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혜택

청년도약계좌란?

기획재정부와 금융당국에서 청년들의 목돈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든 정책입니다. 기존에 시행되었던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조건의 문제로 가입자가 적었던 만큼, 이번 정책에서는 가입 조건을 대폭 늘려, 많은 청년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혜택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병역 복무 기간만큼 기간이 늘어나며 최대 6년 인정)
    • 총 급여 7천5백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천3백만 원 이하
    • 단,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였던 경우에는 신청 제외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2023년 기준)
    • 1인 가구 : 374만 205원
    • 2인 가구 : 622만 1,079원
    • 3인 가구 798만 2,668원
    • 4인 가구 : 972만 1,735원

    청년도약계좌 혜택

    • 월 납입금
    • 매월 40만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
    • 납입 기간
    • 5년
    • 정부 기여금
    •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3~6% 기여금을 지급
    • 비과세

    매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5년 동안 원금은 4천2백만 원입니다. 정부에서는 예상 기여금을 8백만 원으로 예상하여 만기 때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 기여금 8백만 원을 이자라고 생각하면, 약 19%의 이자 수익을 얻는 것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만기 전 해지 시 불이익
    청년도약계좌 의무가입기간인 5년 이내에 해지하게 되면 감면세액이 추징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는 23년 6월에 출시 예정이고, 25년 12월 31일까지 운영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및 조건, 금리 등 세부적인 사항은 추후 발표 예정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뭐가 더 좋을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청년 지원 정책 중 청년도약계좌와 비슷한 청년희망적금이 있습니다.
    두 상품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월 납입액
      • 청년희망적금 : 최대 50만 원
      • 청년도약계좌 : 최대 70만 원
    • 납입기간
      • 청년희망적금 : 2년
      • 청년도약계좌 : 5년
    • 은행 금리
      • 청년희망적금 : 5~6%
      • 청년도약계좌 : 미확정
    • 정부 지원금
      • 청년희망적금 : 저축 장려금 최대 36만 원
      • 청년도약계좌 : 소득에 따라 3~6% 기여금 지급
    • 신청 조건
      • 청년희망적금 : 총 급여액 3천6백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천6백만 원 이하
      • 청년도약계좌 : 총 급여 7천5백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천3백만 원 이하

    수익률을 따졌을 때 청년희망적금보다 청년도약계좌가 훨씬 높아서 청년희망적금보다는 청년도약계좌가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납입기간이 더 길어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 가능한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기존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 중이라면, 만기가 끝난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거나, 해지 후 가입을 해야 합니다.
    추후 자세한 사항이 나오면 다시 전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