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IRP ISA인 게시물 표시

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방법

이미지
나리타 공항에서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타고 도쿄역 또는 시부야, 신주쿠 등 시내로 많이 가는 방법이 나와있어서 수월했다면,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 갑자기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우왕좌왕 헤매지 말고 쉽게 넥스타고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법 도쿄역 광장을 앞에 두고 봤을 때 지하로 바로 내려가지 말고 1층 도쿄역을 통과해서 빨간색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표지판 따라가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혼잡하기로 유명한 도쿄역에서 잘 모르겠을 시 역무원이 항시 대기하므로 물어보기가 편합니다.  넥스 왕복 티켓을 미리 구매했는 경우 일본 여행 첫날, 나리타공항에서 넥스를 왕복으로 구매했다면 수월하게 빨간색 넥스 표지판만 따라가면 됩니다. 처음에 우리나라 지하철 개찰구와 같은 곳에 구매한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됩니다. (저희도 처음에 몰라서 역무원에게 말했더니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된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왕복티켓이 있다고 넥스의 시간과 좌석이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넥스 티켓 판매 기계로 가서 왕복 구매 시 남은 티켓을 넣고 시간과 좌석을 정해줍니다. 어려워할 것도 없이 역무원이 항시 대기 중이며, 옆에서 도와주므로 수월하게 나리타공항으로 가는 넥스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여행 첫날 왕복 구매하신 분들은 추가 금액이 없으므로 안심 하셔도 됩니다. 티켓이 총 두장씩 나오게 되는데 나리타공항 도착 후 개찰구에 티켓 두장을 모두 넣으면 됩니다. 하나씩 따로 넣든 두장을 한꺼번에 넣든 상관없습니다. 넥스 편도 티켓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 왕복티켓이 아닌 편도로 넥스 티켓을 현장 구매해야 한다면 넥스(N'EX)라고 빨간 표지판이 있는 티켓 부스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 또한 어렵지 않은 것이 역무원이 빠르게 도와주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편도티켓 2인 기준 약 5,000엔 스이카로 결제했을 시 금액이 부족하다면 남은 금액...

ISA 계좌 장단점 가입 전에 꼭 확인하자

ISA 계좌란? ISA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줄임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불립니다. ISA 계좌를 통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펀드, 주식, ETF 등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펀드, 주식, 예금 등에 투자하기 위해서 계좌를 별도로 개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없애고자 ISA 계좌를 도입했고, 한 계좌로 여러 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세제 혜택도 있어 '만능 통장'이라고도 합니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사를 통해 가입 가능하며, 1인당 한 계좌만 만들 수 있습니다. ISA 계좌가 여러 장점이 있는 만큼 가입자와 이용하는 사람도 매우 많습니다. 하지만 ISA 계좌가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ISA 계좌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ISA 계좌 장점 및 단점 ISA 계좌를 개설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ISA 계좌 장단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ISA 계좌 장점 ① 비과세 혜택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하여 수익이 났을 때 한도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만약 2,000만 원 투자해서 10% 수익이 났으면, 원래는 세금으로 15.4%인 308,000원가량 내야 하는데, 여기에 대해 과세하지 않는 것입니다. 가입 유형에 따라 비과세 한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서민형 총 급여 5,0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3,500만 원 이하 비과세 한도 : 400만 원 일반형 만 19세 이상 비과세 한도 : 200만 원 농어민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농어민 비과세 한도 : 400만 원 ② 9.9% 분리과세 투자 수익이 비과세 한도 금액을 넘으면, 넘는 금액에 대해 분리과세를 하게 됩니다. 분리과세는 금융 소득이 2,000만 원 이하면, 별도고 과세를 하게 되는데 원래는 세율이 15.4%이지만, ISA 계좌를 통한 수익은 9.9% 세율을 적용하게 됩니다. ③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 가능 학생이든 주부든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라도 ...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 모르면 손해다

퇴직연금 IRP 계좌란?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개인퇴직연금' 상품입니다. 정부에서 개인 노후 대비를 장려하고자 IRP 계좌 이용 시 세액 공제, 세금 이연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IRP에 가입하면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가입하는 것이 좋은데요, 어떤 장점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 모르면 손해 ① 퇴직금 받으려면 IRP 계좌 개설 의무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제공하는 퇴직연금은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직을 하거나 퇴사를 하면서 퇴직연금을 받을 때 IRP 계좌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도록 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단, 55세 이후 퇴직하거나, 퇴직금이 300만 원 이하면 일반 계좌 수령 가능) ② 절세 효과 IRP는 연금저축계좌 납입금과 합산하여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50세 이상이고 총 급여가 1억 2천만 원 이하면 연 900만 원까지도 세액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계좌에 돈을 입금하기만 해도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③ 세금 이연 효과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았을 때와 연금으로 받았을 때 세금을 예시를 들어 비교해보겠습니다. 퇴직금이 5억 원, 퇴직소득세 20%로 가정하겠습니다. 일시금 수령 세금 : 5억 원 x 20% = 1억 원 수령액 : 4억 원 월 수령액(20년) = 약 167만 원 IRP 연금 수령 세금 : 5억 원 x 14% = 7천만 원 IRP 계좌를 통해 연금을 받으면 퇴직소득세 30% 감면 혜택 연금 수령 10년 후부터는 퇴직소득세 40% 감면 혜택 수령액 : 5억 원 세금 7천만 원은 연금을 받는 동안 분할 납부하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5억 원(세금 이연 효과) 월 수령액(20년) : 5억 원 ÷ 240개월 = 약 208만 원 ④ 노후 자금 마련 IRP 계좌를 통해 국내 및 해외 ETF, 채권 등에 투자하여 노후 자산을 불릴...

연금저축 IRP ISA 투자 순서 잘못하면 손해본다

연금저축, IRP, ISA 투자 시 모르면 손해 보는 것들 연말정산 때 소득 감면을 위해 연금저축, IRP, ISA 등에 가입하면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특정 한 가지 상품만 가입하거나, 세 가지 상품 중 두 가지만 가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 IRP, ISA는 가입 기간, 투자 대상, 수수료, 절세 혜택 등에 차이 가 있는 만큼 무턱대고 상품마다 최대 공제 한도로 납입하는 것보다는 전략적으로 납입하는 것이 절세에 더 큰 도움 이 됩니다. 연금저축, IRP, ISA 차이점부터 알고 가자 💲연금저축 가입 목적 : 노후 생활비, 세액공제 가입 기간 : 장기 가입 대상 : 누구나 가입 가능(소득 무관) 납입 금액 : IRP와 합해서 연간 1,800만 원까지 가능 + ISA 계좌 만기 시 연금계좌 전환 금액 세제 혜택 :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 공제(연간 납입액의 12%) 총급여 5천 5백만 원 이하인 자는 연간 납입액의 15% 세액 공제 총급여 1억 2천만 원 이하 50세 이상인 자는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 공제 의무 기간 : 5년 이상,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IRP 가입 목적 : 퇴직금 수령, 노후 생활비, 세액 공제 가입 기간 : 장기 가입 대상 : 소득이 있는 자라면 누구나 가능 납입 금액 : 연금저축과 합해서 연간 1,800만 원까지 가능 세제 혜택 :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연금저축 한도 포함) 총급여 1억 2천만 원 이하 50세 이상인 자는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의무 기간 : 5년 이상,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ISA 가입 목적 : 목돈 마련, 세액 공제 가입 기간 : 3~5년 가입 대상 : 소득이 있는 자라면 누구나 가능(금융소득종합과세자 제외) 납입 금액 : 연간 2,000만 원 세제 혜택 : 수익의 2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만기 시 계좌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연금 계좌로 전환 시 납입금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