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방법

이미지
나리타 공항에서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타고 도쿄역 또는 시부야, 신주쿠 등 시내로 많이 가는 방법이 나와있어서 수월했다면,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 갑자기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우왕좌왕 헤매지 말고 쉽게 넥스타고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도쿄역에서 넥스타고 나리타공항 가는 법 도쿄역 광장을 앞에 두고 봤을 때 지하로 바로 내려가지 말고 1층 도쿄역을 통과해서 빨간색 넥스(나리타 익스프레스 N'EX) 표지판 따라가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혼잡하기로 유명한 도쿄역에서 잘 모르겠을 시 역무원이 항시 대기하므로 물어보기가 편합니다.  넥스 왕복 티켓을 미리 구매했는 경우 일본 여행 첫날, 나리타공항에서 넥스를 왕복으로 구매했다면 수월하게 빨간색 넥스 표지판만 따라가면 됩니다. 처음에 우리나라 지하철 개찰구와 같은 곳에 구매한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됩니다. (저희도 처음에 몰라서 역무원에게 말했더니 티켓을 넣고 지나가면 된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왕복티켓이 있다고 넥스의 시간과 좌석이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넥스 티켓 판매 기계로 가서 왕복 구매 시 남은 티켓을 넣고 시간과 좌석을 정해줍니다. 어려워할 것도 없이 역무원이 항시 대기 중이며, 옆에서 도와주므로 수월하게 나리타공항으로 가는 넥스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여행 첫날 왕복 구매하신 분들은 추가 금액이 없으므로 안심 하셔도 됩니다. 티켓이 총 두장씩 나오게 되는데 나리타공항 도착 후 개찰구에 티켓 두장을 모두 넣으면 됩니다. 하나씩 따로 넣든 두장을 한꺼번에 넣든 상관없습니다. 넥스 편도 티켓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 왕복티켓이 아닌 편도로 넥스 티켓을 현장 구매해야 한다면 넥스(N'EX)라고 빨간 표지판이 있는 티켓 부스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 또한 어렵지 않은 것이 역무원이 빠르게 도와주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편도티켓 2인 기준 약 5,000엔 스이카로 결제했을 시 금액이 부족하다면 남은 금액...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 모르면 손해다

퇴직연금 IRP 계좌란?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개인퇴직연금' 상품입니다. 정부에서 개인 노후 대비를 장려하고자 IRP 계좌 이용 시 세액 공제, 세금 이연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IRP에 가입하면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가입하는 것이 좋은데요, 어떤 장점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 모르면 손해

① 퇴직금 받으려면 IRP 계좌 개설 의무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제공하는 퇴직연금은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직을 하거나 퇴사를 하면서 퇴직연금을 받을 때 IRP 계좌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도록 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단, 55세 이후 퇴직하거나, 퇴직금이 300만 원 이하면 일반 계좌 수령 가능)

② 절세 효과

IRP는 연금저축계좌 납입금과 합산하여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50세 이상이고 총 급여가 1억 2천만 원 이하면 연 900만 원까지도 세액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계좌에 돈을 입금하기만 해도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③ 세금 이연 효과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았을 때와 연금으로 받았을 때 세금을 예시를 들어 비교해보겠습니다. 퇴직금이 5억 원, 퇴직소득세 20%로 가정하겠습니다.
  • 일시금 수령
    • 세금 : 5억 원 x 20% = 1억 원
    • 수령액 : 4억 원
    • 월 수령액(20년) = 약 167만 원
  • IRP 연금 수령
    • 세금 : 5억 원 x 14% = 7천만 원
      • IRP 계좌를 통해 연금을 받으면 퇴직소득세 30% 감면 혜택
      • 연금 수령 10년 후부터는 퇴직소득세 40% 감면 혜택
    • 수령액 : 5억 원
      • 세금 7천만 원은 연금을 받는 동안 분할 납부하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5억 원(세금 이연 효과)
    • 월 수령액(20년) : 5억 원 ÷ 240개월 = 약 208만 원

④ 노후 자금 마련

IRP 계좌를 통해 국내 및 해외 ETF, 채권 등에 투자하여 노후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55세 이후부터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노후에도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IRP 가입은 어디서 할 수 있을까요?


퇴직연금 IRP 가입 은행, 보험사, 증권사 어디가 좋을까?

IRP 계좌는 은행, 보험사, 증권사를 통해 개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특징이 있습니다.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① 은행   

  • 원리금 보장형 상품
  • 펀드

② 보험사

  • 원리금 보장형 상품
  • 펀드
  • 실적배당 보험

③ 증권사

  • 원리금 보장형 상품
  • 펀드
  • 종합자산관리
  • ETF, ETN
  • 리츠
  • 인프라 펀드

안전한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해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만 투자하겠다고 하시면 어디를 선택하든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장기간의 복리효과를 통해 노후 자금을 불려 놓겠다고 하시면 다양한 투자가 가능한 증권사를 권해 드립니다.(증권사 별 IRP 수수료 확인)



퇴직연금 IRP 가입 장점과 가입 시 금융회사 선택 사항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IRP 가입을 통해 탄탄한 노후 자금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